케이푸드 수출 130억 달러 라면 1위!
케이-푸드 플러스 수출 성과
지난해 케이-푸드 플러스(K-Food+) 수출은 역대 최고의 성과를 기록하였습니다. 수출 총액은 130억 달러를 초과하였으며, 이는 농식품 부문에서만 99억 8000만 달러, 전후방 산업에서 30억 5000만 달러의 수치입니다. 최근 3년 간의 수출 성장률의 3배에 달하는 높아진 증가율로 인해 2015년 이후 9년 연속 성장세를 기록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농식품 수출 1위 품목인 라면은 12억 5000만 달러에 달하며, 이는 전년도 대비 31.1% 증가한 수치입니다. 쌀가공식품 또한 38.4% 증가하며 전년 대비 3억 달러를 수출했습니다. 이 같은 성장은 한류 콘텐츠와의 시너지 효과와 소비자의 높은 선호도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농식품 분야 성과
농식품 분야의 수출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 가공식품은 큰 성과를 보였다. 농식품 수출 성장은 전체 실적을 이끌고 있으며, 신선식품 중 김치 또한 역사적인 최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라면은 최근 드라마와 영화 등 케이-콘텐츠에 자주 노출되어 있어 권역별로 고른 성장세를 보였고, 특히 미국시장에서는 신규 입점에 성공한 대형 유통매장을 통해 극적인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쌀가공식품과 김치의 성과 또한 주목할 만하며, 미국시장으로의 수출이 증가한 점에서 앞으로의 전망이 긍정적인 상황입니다.
- 라면: 12억 5000만 달러(+31.1%)의 수출 달성
- 쌀가공식품: 3억 달러(+38.4%) 성장
- 김치: 1억 6360만 달러(+5.2%) 기록, 역대 최대 실적 초과 달성
시장 확대를 위한 노력
케이-푸드 브랜드의 성장은 해외 시장에서의 적극적인 마케팅과 진출 노력의 결과입니다. 소셜 미디어와 스포츠 이벤트와의 연계를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있으며, 현지 유통망의 확보 또한 수출 증가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중국, 아세안, 유럽 등 다양한 지역에서의 수출 성장은 이러한 노력의 양적인 결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각종 신규 시장에 대한 집중적인 마케팅 전략과 함께 비건 제품이나 건강식품의 수요에 맞추어 제품군을 다각화하고 있습니다.
전후방산업 성장 전망
전후방 산업은 농산업의 수출액이 30억 5000만 달러에 도달했지만, 농기계와 스마트팜 분야의 성장 둔화도 눈에 띕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반려동물 사료와 동물용 의약품, 농약 등의 유망 품목이 수출 증가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팜의 경우 새로운 대형 수주가 줄어든 상황에서도 수주 건수의 증가와 진출국 확대를 통해 긍정적인 성과를 보이는 중입니다. 정부는 이러한 성장세를 지속하기 위해 업계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다양한 지원 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주요 수출 및 성능
품목 | 수출액 (달러) | 변화율 (%) |
라면 | 12억 5000만 | +31.1 |
쌀가공식품 | 3억 | +38.4 |
김치 | 1억 6360만 | +5.2 |
주요 수출 품목과 그 성과는 미래 성장 가능성을 더욱 높여줍니다. 특히 라면과 쌀가공식품의 성장은 케이-푸드의 인기를 상징하는 사례로, 앞으로의 전망이 기대됩니다.
소통 강화 및 지원 방안
농림축산식품부는 업계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수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수출을 위한 박람회와 마케팅 지원, 비관세 장벽 해소 등을 통해 기업의 애로사항을 해결하고 시장 접근성을 높여 나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들은 케이-푸드의 글로벌 확장을 위한 기초가 되며,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할 것입니다.
결론 및 향후 계획
정리하자면, 케이-푸드 플러스의 수출 성장은 여러 요인의 결과로 이루어진 귀중한 성과입니다. 농식품부는 열린 소통과 다양한 지원을 통해 이를 더욱 확장할 계획입니다. 글로벌 시장의 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해외시장 비즈니스 환경을 개선하는데 집중함으로써,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할 것입니다. 앞으로도 케이-푸드의 인지도와 수출 증가를 위해 더욱 노력할 것입니다.
문의 정보
궁금한 점이나 추가 정보가 필요할 경우, 다음 기관으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산업정책관실 농식품수출진흥과(044-201-2172), 농식품혁신정책관실 농산업수출진흥과(044-201-2472). 정책뉴스자료는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사진은 저작권이 있는 경우 사용할 수 없으며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