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쇼 사기 특별경보, 자영업자 보호 나선다

Last Updated :
노쇼 사기 특별경보, 자영업자 보호 나선다

노쇼 사기, 자영업자 울리는 신종 범죄

최근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노쇼(NO-SHOW) 사기가 급증하면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노쇼 사기란 예약을 하고도 연락 없이 나타나지 않는 행위를 말하며, 최근에는 기관 관계자를 사칭해 단체 주문 후 연락을 끊거나 대리구매 명목으로 금전을 가로채는 조직적 범죄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경찰, 노쇼 사기 특별경보 발령

이에 경찰은 노쇼 사기 피해를 막기 위해 특별경보를 발령하고, 다양한 범죄 사례와 특징, 대응 방법을 적극적으로 알리고 있습니다. 노쇼 사기는 단순한 예약 취소 문제를 넘어 명백한 조직적 사기 행위로, 자영업자들의 생계를 위협하는 심각한 범죄입니다.

최근 노쇼 사기 사례

충남 서산의 한 족발집에서는 약 80만 원 상당의 음식을 준비했으나, 군부대 간부를 사칭한 범죄 조직의 노쇼 사기로 인해 피해를 입었습니다. 이들은 군부대 중사를 사칭해 떡 30만 원어치를 주문하고, 전투식량 대리 주문을 요청하며 위조된 사업자등록증과 명함을 보내 신뢰를 얻은 뒤 연락을 끊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자영업자는 전투식량 판매업체에 대리 구매 및 대납을 하였으나, 해당 판매업체 역시 범죄 조직과 연계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노쇼 사기 유형별 특징

  • 군 간부 사칭형: 군 간부를 사칭해 음식을 주문하고 나타나지 않으며, 유통 업체를 통해 배송비 선입금을 요구하는 수법입니다. 공문서나 신분증 위조로 신뢰를 얻는 것이 특징입니다.
  • 교도소 직원 사칭형: 교도소 직원을 사칭해 대량 주문 후 특정 유통 업체를 통한 배송과 배송비 선입금을 요구합니다. 신분 위조를 통해 금전을 편취합니다.
  • 유통 업체 연계형: 대량 주문 후 실체 없는 유통 업체를 통해 배송비 선입금을 요구하는 신종 사기 수법입니다.
  • 공문서 위조형: 물품 공급 결제 확약서 등 공문서를 위조해 주문의 신뢰성을 높이고 추가 비용을 요구하는 방식입니다.

노쇼 사기 피해 현황과 심각성

2024년 2월부터 2025년 3월까지 전국에서 접수된 군부대 등 관련 노쇼 사기 피해는 총 537건에 달하며, 최근 5년 사이 피해 구제 건수는 4.7배나 급증했습니다. 이는 노쇼 사기가 단순한 예약 취소를 넘어 조직적 범죄로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노쇼 사기 예방 및 대응 방법

  • 신분 확인: 대량 주문 시 주문자의 신분을 반드시 확인하고, 공공기관을 사칭하는 경우 해당 기관에 직접 확인해야 합니다.
  • 선입금 요구: 대량 주문 시 일정 금액의 선입금을 요구해 피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의심스러운 요청 거절: 배송비 선입금 등 의심스러운 요청은 거절하고, 필요 시 경찰에 신고해야 합니다.

노쇼 사기는 명백한 조직적 사기 행위입니다.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예방과 신속한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의심스러운 주문이나 요청이 있을 경우 즉시 거절하고 경찰에 신고하는 것이 피해를 줄이는 최선의 방법임을 명심해야 합니다.

노쇼 사기 특별경보, 자영업자 보호 나선다
노쇼 사기 특별경보, 자영업자 보호 나선다
노쇼 사기 특별경보, 자영업자 보호 나선다 | 광주진 : https://gwangjuzine.com/4181
서울진 부산진 경기진 인천진 대구진 제주진 울산진 강원진 세종진 대전진 전북진 경남진 광주진 충남진 전남진 충북진 경북진 찐잡 모두진
광주진 © gwangju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