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풍수해 감염병 철저 예방법

Last Updated :
여름철 풍수해 감염병 철저 예방법

여름철 풍수해 감염병, 철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장마와 태풍, 홍수 등 여름철 자연재해가 빈번해지는 시기에는 풍수해 감염병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풍수해 감염병은 자연재해로 인해 발생하거나 악화되는 감염병으로, 하천 범람과 침수로 인해 병원균, 모기, 파리, 쥐 등 감염 매개체의 서식 환경이 변화하고 위생 상태가 취약해지면서 유행할 위험이 커집니다.

주요 풍수해 감염병과 그 특징

여름철 풍수해 상황에서 주로 발생하는 감염병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오염된 물이나 음식을 통해 전파되는 수인성식품 매개 감염병, 둘째, 모기를 매개로 하는 감염병, 셋째, 수해복구 작업 중 피부 노출로 인한 접촉성 피부염과 렙토스피라증, 넷째, 접촉을 통해 전파되는 안과 감염병입니다.

수인성식품 매개 감염병 예방 수칙

  • 콜레라,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A형 간염 등이 대표적입니다.
  •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을 깨끗이 씻는 습관을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 오염된 물이 닿은 음식이나 냉장이 유지되지 않은 음식 섭취를 피해야 합니다.
  • 끓인 물이나 생수 등 안전한 물을 마시고 사용해야 합니다.
  • 음식은 위생적으로 조리하고 충분히 익혀 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 설사, 구토 증상이 있거나 손에 상처가 있을 경우 조리에 참여하지 않아야 합니다.
  • 채소와 과일은 깨끗한 물에 충분히 씻어 섭취해야 합니다.

모기 매개 감염병 예방 수칙

  • 말라리아, 일본뇌염 등이 대표적입니다.
  • 3시간 간격으로 모기기피제를 사용하고, 일몰 후부터 일출 전까지 야간 활동을 자제해야 합니다.
  • 야간 야외활동 시 밝은색 긴 옷을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가정용 살충제 사용과 방충망 정비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 모기 서식지인 물웅덩이 등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모기에 물린 후 발열, 오한,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합니다.

수해복구 작업 시 피부 노출 최소화

  • 접촉성 피부염과 렙토스피라증 예방을 위해 방수 처리된 보호복, 장화, 고무장갑을 착용해야 합니다.
  • 침수 지역에서 작업할 때는 피부가 오염된 물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작업 중 상처가 생기거나 작업 후 발열, 근육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안과 감염병 예방 수칙

  • 유행성각결막염이 대표적입니다.
  •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을 씻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예방 방법입니다.
  • 수건, 베개, 안약, 화장품 등 개인 소지품을 함께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 눈에 부종, 출혈, 이물감 등이 있을 경우 손으로 비비거나 만지지 말고 안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건강한 여름을 위한 마무리

여름철 풍수해 감염병은 오염된 물과 음식, 모기 등 다양한 경로로 전파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생 수칙을 철저히 지키고, 예방 수칙을 생활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올바른 손 씻기와 안전한 음식 섭취, 모기 기피, 그리고 수해복구 작업 시 적절한 보호장비 착용을 통해 건강한 여름을 보내시기 바랍니다.

여름철 풍수해 감염병 철저 예방법
여름철 풍수해 감염병 철저 예방법
여름철 풍수해 감염병 철저 예방법 | 광주진 : https://gwangjuzine.com/4244
서울진 부산진 경기진 인천진 대구진 제주진 울산진 강원진 세종진 대전진 전북진 경남진 광주진 충남진 전남진 충북진 경북진 찐잡 모두진
광주진 © gwangju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