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루엔자 환자 급증 백신 접종 필수!

Last Updated :

최근 인플루엔자 유행 현황

지난주(12월 22일~28일) 동안,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수가 2016년 이래 가장 높은 수준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질병관리청은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호흡기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 및 65세 이상 어르신과 어린이에게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질병청이 운영하는 300곳의 의원급 시설에서 실시된 인플루엔자 표본 감시 결과, 지난 4주 기간 동안 의사환자 발생률이 증가세를 보였으며, 52주차에는 외래환자 1000명당 73.9명이 발생하여 51주차 대비 136%의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연령별 통계를 살펴보면 13세에서 18세 사이의 환자 발생률이 151.3명으로 가장 높았고, 7세에서 12세는 137.3명, 19세에서 49세는 93.6명으로 나타났습니다.

호흡기 바이러스 감시 결과

호흡기 바이러스에 대한 병원체 감시 결과, 52주차 기준으로 감염률이 50.9%로 증가했으며, 이는 지난주 29.0% 대비 21.9% 상승한 수치입니다. 이는 이번 절기 동안에서 가장 높은 수치로 나타났습니다. 가장 검출 비율이 높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A형 중 (H1N1)pdm09(34.6%)이며, H3N2(14.9%), B형(1.4%)이 뒤를 이었습니다.현재 유행 중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이번 절기 백신과 매우 유사하여 백신 접종 후 높은 중화 능력 형성이 확인되었습니다. 치료제 내성 변이의 여부도 조사한 결과, 현재로서는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 어린이병원에서 호흡기 질환을 앓고 있는 어린이와 보호자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질병청은 지난해 12월에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를 발령했습니다.
  • 고위험군은 의심증상 발생 시 항바이러스제를 처방받을 수 있습니다.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안내

‘2024~2025 절기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중증화 위험이 큰 6개월~13세 어린이, 임신부, 65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시행 중입니다. 어린이와 65세 이상 어르신의 경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접종률이 낮아 정부 부처 및 관계 기관과 협력하여 적극적인 예방접종 독려 캠페인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인플루엔자 백신은 지정 의료기관 및 보건소에서 접종 가능하며, 자세한 사항은 예방접종 도우미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질병관리청의 권고사항

지영미 질병청장은 “인플루엔자가 급속도로 유행하고 있고 통상적으로 봄철까지 유행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어린이와 임신부, 65세 이상 어르신들은 꼭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하였습니다. 또한, 외출 전후 손 씻기, 기침 예절 실천, 증상 발생 시 마스크 착용, 밀폐된 공간의 경우 일정 시간마다 환기 등의 예방 수칙 준수를 당부했습니다. 이러한 예방 수칙은 필수적으로 지켜져야 하며, 감염 예방에 큰 도움이 됩니다.

인플루엔자 주요 정보

유행 중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형 검출 비율 백신 효과
A형 (H1N1)pdm09 34.6% 높은 중화 능력 확인
H3N2 14.9% 백신 주와 유사
B형 1.4% 변이 없음 확인

인플루엔자와 관련된 정보는 잘 파악하여 예방접종 및 개인위생 관리에 철저히 임해야 합니다. 예방접종은 특히 고위험군에게 필수적이며, 접종률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누구나 쉽고 안전하게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고위험군의 예방 조치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소아와 임신부는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을 통해 감염 예방에 힘써야 합니다. 특히 어린이와 65세 이상의 고령자들은 면역력이 약하므로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들은 가급적 예방접종을 통해 인플루엔자 발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결론 및 권장 사항

인플루엔자는 매년 두 차례 이상 유행하며, 그로 인한 질병 발생률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번 절기에도 인플루엔자 유행에 대비하여 백신 접종과 개인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질병 예방은 공동체의 건강을 위하는 첫걸음이므로, 이웃과 가족의 건강을 위해서도 개별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FAQ: 인플루엔자와 관련된 자주 묻는 질문들

인플루엔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호흡기 질환에 대해 많은 의문이 제기됩니다. 주요 질문으로는 예방접종의 필요성, 증상 발생 시 대처 방법 등이 있으며, 각 질문에 대해 필요한 정보를 받을 수 있는 경로를 안내하고 있습니다. 질병관리청의 공식 웹사이트 및 상담센터를 통해 구체적인 답변을 얻을 수 있습니다.

연락처 및 정보 출처

질병관리청의 문의처로는 감염병정책국 감염병관리과(043-719-7140), 호흡기감염병대응TF(043-719-7143), 의료안전예방국 예방접종관리과(043-719-8365), 진단분석국 신종병원체분석과(043-719-8149)입니다. 공식 웹사이트와 보도자료를 통해 추가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보는 정책브리핑 내 보도자료를 통해 자유롭게 이용 가능합니다.

인플루엔자 환자 급증 백신 접종 필수!
인플루엔자 환자 급증 백신 접종 필수! | 광주진 : https://gwangjuzine.com/3718
광주진 © gwangju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