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새일센터 직업교육훈련 89개 과정으로 확대!
여성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훈련 확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여성가족부는 여성새로일하기센터(새일센터)의 고부가가치 분야 직업교육훈련 과정을 올해 89개로 부각하여 여성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신산업 분야에서 구인·구직 수요에 적합한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훈련이 강화되며, 이는 여성들이 양질의 일자리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경제적 지원과 직업교육 참여수당 신설
올해부터 새일센터의 직업교육훈련에 참여하는 훈련생에게는 월 10만 원의 지원금을 제공하는 직업교육훈련 참여수당이 신설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여성들이 경제적 부담을 덜고 교육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됩니다. 최대 4회까지 받을 수 있는 이 지원은 교육 참여를 유도하는 중요한 촉진제가 될 것입니다.
- 지속 가능한 고용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여성 인턴 채용 확대.
- 취업 여성의 경력 단절 예방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 프로그램.
- 창업을 위한 다양한 지원을 통해 여성 기업가의 플랫폼 마련.
여성 인턴 프로그램의 확대
새일여성인턴 프로그램은 여성들이 안정적인 고용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고용유지장려금을 확대하여 보다 많은 기업이 인턴을 채용하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새일여성인턴으로 참여한 여성이 정규직으로 전환한 후 12개월간 근무하면 460만 원의 고용유지장려금이 지원됩니다. 이러한 지원은 인턴을 거쳐 정규직으로 전환을 원하는 여성들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
여성 창업 활성화 방안
여성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정부는 40곳의 새일센터에 창업 전담인력을 배치하여 단계별 지원을 제공합니다. 디지털 콘텐츠 기획과 스마트 헬스케어 스타트업 육성과정 등 다양한 창업 교육이 진행되어, 시장의 변화에 맞춘 유망 직종의 창업을 지원합니다. 또한, 창업전담인력이 없는 센터에서는 '찾아가는 창업상담' 서비스를 통해 더 많은 여성들이 창업에 도전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입니다.
경력단절예방과 일·생활 균형
여성가족부는 경력단절 예방 및 일·생활 균형 문화를 확산하기 위한 정책을 강화합니다. 여성의 고용 유지를 위해 깊이 있는 상담과 직장 문화 개선을 위한 기업 상담 등의 심층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지원은 여성들이 지속적으로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그들의 경력 경로를 안정적으로 이어갈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정책 실행과 향후 전망
조민경 여가부 여성정책국장은 "앞으로도 취업을 준비하는 여성들이 양질의 일자리에 진입하고 경력을 꾸준히 이어갈 수 있도록 신기술 분야 직업교육훈련 확대 및 맞춤형 취업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정책들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활성화하고, 모두가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일자리에 접근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여성가족부의 지속적인 노력
여성가족부는 이와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여성들의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며, 여성의 가치를 더욱 확립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궁극적으로 여성들이 경제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게 됩니다.
여성 전문인력 육성을 위한 사회적 합의
이번 정책을 통해 우리는 여성들이 전문인력으로 양성되고, 신산업 분야에서 더욱더 두각을 나타내게 될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가정, 기업, 정부가 전방위적인 협력을 통해 보다 나은 일자리 환경을 만들어야 합니다.
지속 가능한 경제 참여를 위한 정책 제안
여성들이 지속 가능하게 경제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문 분야 교육과 함께 경력을 이어갈 수 있는 다양한 지원이 필요합니다. 인턴십 확대, 경력 전환 지원 등은 이러한 목표를 위한 기초로 다져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모든 여성이 경제활동을 통해 자아를 실현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